TFC Round 1

TFC Round 1 (2024/04/20 ~ 04/26)

Started my B-grade Management with The Fresh Connection

회사 경영이든 시스템 운영이든 초기 레벨에서 최종 성공이나 안정적인 단계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시행착오가 필요할 것이다

Strengthening internal cohesion with external threats (외부의 적으로 내부 결속 다지기 )

When taking on a major role in a company for the first time, what would one do first? Most likely, unless you’re the owner, you need to show results right away, so the first thing to do would probably be to downsize the workforce. However, downsizing would stir internal resistance.

처음 회사의 중책을 맡게 된다면 무엇을 먼저 진행해야 할까? 아마도 오너가 아니라면 성과를 당장 나타내야 하기 때문에 인원 감축으로 경영지표 개선을 보여주려할 것이다. 하지만 인원 감축은 내부 반발을 불러 오기 쉽다.

While the TFC game doesn’t directly capture the emotions of internal employees, in reality, there would likely be protests or criticisms. The real problem lies in the minds of the remaining employees. Would they work for the company? The uncertainty of when they might be fired and the anxiety of seeing other colleagues leave will intensify.

TFC 게임이 내부 직원의 감정까지 담아낸 게임은 아니지만, 실제라면 반대 시위나 비판에 부딪힐 것이다. 진짜 문제는 남아있는 직원들의 마음의 동요이다. 과연 그들이 회사를 위해 일해줄까? 언제 해고될지 모르는 불안감과 다른 동료들이 나가는 것을 보고 자신도 언제 그런 일을 당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은 회사가 가고자 하는 방향과는 거리가 먼 곳으로 이끌 것이다.

I intend to employ a strategy of strengthening cohesion through external factors, rather than creating internal adversaries from the outset, considering this situation.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내부의 적을 처음부터 만들지 않고 외부의 요인을 이용해서 결속력을 다지는 전략을 사용해보려 한다.

Therefore, I did not employ a strategy to maximize ROI from the start, but rather sought to initiate change from the outside. In this game, the internal represents the production line, and purchasing and selling are connected to external suppliers and customers, respectively. In the market, relationships with suppliers and customers are crucial, but in terms of the strength of these connections, they are relatively weak compared to internal employees as they are bound by contracts. This also implies the ability to respond agilely to market changes. Therefore, especially in challenging business situations, it can be highly beneficial to introduce changes in external factors.

따라서, 나는 처음부터 ROI를 최대한 올리려는 전략은 쓰지 않았고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변화를 먼저 진행하려 했다. 이 게임에서 내부는 생산라인이고 구매와 판매는 각각 공급처와 고객이라는 외부와 연결되었다. 시장에서 공급처와 고객과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지만 관계의 결합력 측면에서는 계약이라는 매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직원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약한 연결고리를 갖는다. 이부분은 시장의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즉, 경영 상황이 좋지 않은 지금은 외부요인에 변화를 주는것이 매우 유익한 판단이 될 것이다.

In the next round, I focused on finding high-quality suppliers in purchasing by making changes to existing contracts, and in selling, I prioritized meeting customer requirements to understand what changes would occur.

이번 라운드에서 다음 번 구매에서 양질의 공급처를 찾기 위해 계약지수에 변화를 주었고 판매에서는 고객요건을 최대한 충족시켜서 어떤 변화가 발생되는지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This strategic approach aimed to maintain stability internally while seeking improvement and adaptation externally.

이 전략적인 접근은 내부적으로 안정을 유지하면서 외부적으로 개선과 적응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Comments

  Write a comment ...
-->